합격해서 너무 기쁘지만, 이런 기쁨을 저만 누릴 순 없잖아요? 차후 인문100년 장학생이 되실 분들을 위해서 제가 준비하면서 모아놓은 정보들과 꿀팁들을 나누려고 해요. 이번 글을 통해서 인문 100년 장학금이 무엇이고, 어떻게 준비해야 하며지원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다음 글은 지원에 필요한 학업 계획서 작성 팁이니 두 번째 글도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Tip. 해당 장학금이 어떤 장학금인지 알아야 자소서를 쓸 때 도움이 되기 때문에 지원 전에 이게 어떤 성격의 장학금인지 확실하게 숙지하고 가시는 게 좋습니다.
1. 인문 100년 장학금이란?
"인문학 및 기초학문 분야 우수인재가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학문 후속세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학금으로 인문사회계열 우수학생에게 학자금을 지원하여 인문학 소양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장학금"
KDI 경제정보센터 그리고 한국장학재단의 인문100년장학금 설명을 모아봤어요. 기존에는 국가우수장학금(인문계) 였다가 2010년대 후반에 들어서 인문100년장학금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모집하고 있는 장학금입니다. 왜 하필 100년일까... 항상 궁금했는데 선정된 지금도 확실히는 모르겠습니다. 인간이 살 수 있는 수명이 100년이기 때문일까요? 어찌됐든 선정되고 나면 앞으로 100년동안 부지런히 인문학 소양을 닦아야할 거 같은 그런 멋진 이름의 장학금입니다.
2. 장학금 지원 대상과 지원 유형
(지원대상) 대한민국 국적 소지자로서 국내 4년제 대학 인문·사회계열 학과(부)에 재학 중인 1학년 또는 3학년 (※ 계열구분은 선발년도 대학별 학과계열 분류체계에 따름)
대학교 재학중인 1학년 신입생과 3학년 1학기에 재학중인 3학년 학생만 신규 장학생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인문 사회계열 학과라고 하면 문학, 사학, 철학, 사회학만 해당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하지만 해당 지원 범위는 '인문사회계'로 정말 광범위하기 때문에 경영, 경제, 교육 그 외 정말 다양한 문과 학과들이 가능하답니다. 지원에 한정은 없으나 뭔가 응용된 학과 소속이라면, 인문학과 자신의 학과를 어떻게 엮어나갈지 고민하는 게 되게 중요할 것 같아요.
Tip. 그리고 1학년 때는 다들 장학금에 대해 관심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경쟁률이 낮은 1학년 때를 노리는 게 합격의 지름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지원유형)
전공탐색 I · II유형(최대 4년 지원) : 1학년 신입생
전공확립 I · II유형(최대 2년 지원) : 3학년 재학생
※ I유형: 등록금 + 생활비 지원, II유형: 등록금 지원
1학년 학생의 경우 전공탐색 유형, 3학년 학생의 경우 전공확립 유형입니다. 해당 유형은 또 1유형인지 2유형인지 나뉘게 되는데 두 유형 모두 등록금을 '전액' 지원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1유형은 거기에 더해서 250만원의 생활비를 지원받게 됩니다. 인문 100년 장학금은 소득분위가 높은 학생도 받을 수 있는 몇 안되는 소중한 장학금입니다. 저도 9분위인데 합격한 거 보면 학업 계획서(자소서)가 얼마나 탄탄한지를 중심으로 평가하는 것 같아요. 소득 분위가 높다고 포기하지 말고 한번쯤 지원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아쉽지만 1유형, 2유형은 본인이 선택할 수 없어요. 신청할 때는 전공탐색, 전공확립만 선택할 수 있고 나머지 1,2유형은 차후 인문 100년 장학생으로 선정이 되면 소득 분위 등 선정 기준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배치가 됩니다. 저는 9분위였기에 자연스레 2유형이 됐지만, 2유형도 대학 등록금 전액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만족스럽습니다! (저도 솔직히 1유형이 부럽기는 해요..부럽다)
Tip. 여기엔 나와있지 않지만 대학에서 차후에 인문100년장학생으로 선발된 이력이 없는 인문사회계열 학과(전공) 3~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기만 지원을 해주는 일시지원(한 학기 지원) 유형도 있어요!
3. 장학금 지원 절차, 일정
지원절차는 크게 제가 임의로 세 단계로 구분해봤는데요. Step 1. 학생 신청 과정. Step 2. 학교 자체 추천 대상 선발 과정. Stpe 3. 한국장학재단의 최종 선정입니다.
Step 1. 학생 신청 과정.
일단 3월,4월에 지원을 희망하는 학생이 사전신청을 합니다.
저같은 경우 3월 말에 2주정도 시간을 들여 3페이지의 학업 계획서(자소서)를 작성했고, 4월 초에 학업 계획서를 제출하며 장학금을 신청했어요!
참고로 2023년 국가우수장학금(인문100년) 신규장학생 사전 신청 일정은 2023. 3. 20.(월) ~ 2023. 4. 7.(금) 이었습니다. 보통 매년 비슷한 시기에 진행되니 참고하셨으면 해요.
Tip 보통 이맘때쯤 (대학생이라면 지옥의 중간고사 시즌...) 진행하기 때문에 미리 알고 준비하면 여유롭게 준비할 수 있어서 좋겠죠? 저도 준비하면서 과제가 많았는데 자소서 쓰고 고치고 쓰고 고치고 과제까지 하느라 상당히 빡셌던 기억이 있습니다.
Step 2. 자교에서 진행하는 추천 대상자 선발 과정.
대학 별 인문계 학생 수에 따라 대학마다 인문100년장학생 수를 배정받고 나면, 대학에서 자체적인 평가 과정을 통해 장학금 추천 대상자를 선발합니다. 이 때, 사전신청하지 않은 학생도 추가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저희 학교는 4월 말에 자체 평가를 진행할 때 학업계획서, 자기소개서(A4 1장 분량, 자유 형식), 소득분위확인서를 제출하라고 했었어요. 3학년 학생의 전공확립 유형인 경우 추가적으로 수상 내역이나, 증명 서류가 필요한 반면 1학년 학생같은 경우 소수의 아웃라이어를 빼면 아직까지 한 활동이 없는 게 정상이기에 크게 요구하는 건 없는 것 같아요! 하지만 해당 선발 과정이 학교마다 다른 걸 감안했을 때 일부 학교는 면접을 진행하기도 하고, 추가적인 서류가 필요할 수 있으니 항상 공지사항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Stpe 3. 한국장학재단의 최종 선정 과정.
학교에서 추천 대상자로 선정되면 거의 장학생이 됐다고 보면 되는데요. 장학재단 측에서 대학 추천자를 심사해 최종적으로 장학생을 선정하고 이들에 대한 장학금을 지원하게 됩니다.
사실 학교에서 추천 대상자로 선정되면 거의 붙는 거 같은데요! 이게 학교에서 추천 대상자를 몇 명이나 뽑는지 공지사항을 보면 알 수 있거든요. 저희 학교의 경우 전공탐색 유형은 추천대상자를 4명 뽑고, 1유형 1명, 2유형 2명 선정된다고 공지가 됐었어요. 따라서 최종적으로 1명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겠죠? 합격까지 얼마 안남았지만 그렇다고 해도 너무 안심할 수는 없는 그런 절차라고 생각해요.
저는 5월 초중반에 추천 대상자로 선정됐고, 6월 23일이 되어서야 드디어 장학금 합격이라는 결과를 알 수 있었습니다! 거의 매일같이 걱정하면서 장학재단 사이트에 들어갔었는데 공식자료에는 5월에 나온다던 합격 결과가 늦어지니 무섭기도 했고, 떨어진 거 아닌가 두렵기도 했는데 결과적으로 합격한 거 보고 너무너무 너무 너무 너무너무 기뻤던 것 같습니다. 합격하고 나서야 1유형이 아니라 좀 아쉽기는 했지만 4년 전액 등록금 지원도 엄청나게 소중한 결실이라고 생각해요.
결과가 1학기 끝나고, 6월 말쯤에 느리게 나오는 편이니 기다리실 때 참고하세요!
이쯤에서 여러분들이 궁금하실 것 같은 QnA를 하나 준비해봤어요!
Q. Step 2 추천 대상자 선발 과정에서 사전 신청 안한 사람들도 추가적으로 학교에 지원이 가능하다고 들었는데 Step 1 장학재단에 사전 신청은 왜 하는 건가요?
A. 저도 이게 이해가 안됐거든요. 나중에 지원할 수 있고,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다면 미리 지원하는 게 바보 아닌가 싶더라고요. 하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제 생각에 사전 신청만의 장점이 있는 것 같아요. 저희 학교는 자체 선발 공지를 늦게 해줘서 공지 이후 준비 기간이 1주밖에 안됐었는데요. 이런 촉박한 기간 내에 학업 계획서를 작성하고, 필요한 서류들과 절차를 준비하려면 상당히 버겁겠죠? 따라서 완성도 있는 준비를 위해서는 사전 신청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또한 해당 장학금의 정보를 모르는 학생에게도 기회가 돌아가고, 함께 경쟁을 한다는 점에서 진짜 우수한 인문사회학도가 선정되는 하나의 과정이라고 생각했어요. (1주일밖에 안되는 시간에 학업계획서 3장을 작성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싶기는 하지만..)
결론적으로 추가 신청 때 학교에 지원 후 추천 대상자가 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마무리
이정도면 대략적인 인문 100년 장학금의 내용, 절차, 일정들을 대부분 숙지하셨을 것 같은데요.
좀 더 구체적이고 자세한 내용은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의 인문100년장학금 탭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